김중규

완강

[기출] 2025 김중규 선행정학 7급 기출 문제풀이

  • 학습단계기출
  • 수강기간90일
  • 강좌 소개
  • 강의 목차
  • 교재 소개

강좌 소개

  • 수강 대상

    - 행정학 이론은 수강하였지만 이론과 개념 정리가 필요한 수험생

    - 요약된 필수기출풀이를 원하는 수험생

    - 핵심 기출문제 회독을 원하는 수험생

  • 강좌 특징

    *1월 15일(수) 개강하는 강좌로 수업 후 24시간 내에 업로드 됩니다.
    *교재는 '2025 김중규 최빈출 600 선행정학' 입니다.

    꼭 출제되는 최근 기출을 한번에 학습할 수 있는 강좌
     

    국정교과서가 없는 행정학이지만,
    40여년 노하우의 김중규 교수님이 시험에 나오는 모든 유형과 이론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강좌 내용]
    - 2025 행정학 문제를 완벽히 준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강좌 
    - 기출문제로 행정학 이론을 회독할 수 있는 강의

    [수강 효과]
    - 행정학 이론은 물론 출제 배경, 포인트, 변형 문제까지 완벽하게 훈련할 수 있습니다. 
    - 암기식 문제풀이가 아닌 이해 위주의 문제풀이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언제나 그랬듯,
    합격의 기준이 되는 김중규 선행정학으로 함께하세요!

강의 목차

  • [기출] 2025 김중규 선행정학 7급 기출 문제풀이
    47강
    • 1강
      250115_01. 공공재로서의 행정~ p.13~
      OT
      43분 24초
    • 2강
      250115_02. 행정기능~ p.16~
      맛보기
      38분 28초
    • 3강
      250115_07.행정의 변천~ p.26~
      41분 18초
    • 4강
      250115_11.정부규제~ p.35~
      45분 26초
    • 5강
      250116_14.행정이념~ p.46~
      54분 42초
    • 6강
      250116_17.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p.56~
      39분 1초
    • 7강
      250116_23.신행정론~ p.65~
      50분 59초
    • 8강
      250116_26.신제도론 p.73~
      39분 5초
    • 9강
      250117_20.신공공서비스~ p.80~
      51분 11초
    • 10강
      250117_01.정책과학의 특성~ p.93~
      38분 14초

교재 소개

2025 김중규 최빈출 600제 선행정학
미리보기
2025 김중규 최빈출 600제 선행정학

모든 공무원 행정학 대비 교재. 인사혁신처 기준 최근 5년간 최소 3회 이상 출제된 빈출문제를 단원별로 정리하여 총 600여 문제로 구성하였다. 문항별로 중요도와 난이도를 상중하로 구분하고, 출제횟수(변형된 문제 포함)를 표기하여 수험생 스스로 집중력의 강약 조절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문항별로 출제포인트를 통해 출제의도와 출제추이를 분석, 제시하고 답을 쉽게 찾아나갈 수 있도록 접근경로와 포인트를 제시하였다. 기출문제는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문제마다 저자의 생각과 합격생들이 그 문제를 어떻게 풀었는지 중규샘팁과 합격생팁을 제시하여 문제를 푸는데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문항마다 자세한 지문별 해설을 달고 지면이 허용하는 한 최대한 오답피하기 해설을 빠짐없이 넣으려고 노력하였으며, 해설에서 특히 중요한 키워드들은 하이라이트 표시를 하여 빠르게 오답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문제와 관련된 이론을 요점정리나 정리표로 제시하여 이론과 문제를 연결시키도록 유도하였다. 「지방자치법」과 「주민투표법」, 「주민조례발안법」, 「공무원노조법」, 「정부조직법」 등 최근 개정법렵은 물론, 필수과목 전환 이후 새롭게 나타난 출제경향과 고난도 영역, 정책이슈 들까지 모두 완벽 반영하였다.

  • 목차

    제1장 I 행정학의 기초이론
    01 공공재로서의 행정 13
    02 행정기능 & 행정과정 16
    03 행정과 정치 17
    04 행정과 경영 20
    05 행정과 사회 - NGO 23
    06 사회적 자본 24
    07 행정국가와 현대행정의 특징 26
    08 신행정국가의 특징과 정부관 27
    09 후기산업사회(포스트모더니티)의 행정 30
    10 시장실패 32
    11 정부규제 35
    12 정부실패 38
    13 공공부문의 민간화 42
    14 행정이념의 변천과 관계 46
    15 행정의 본질적 가치 47
    16 행정의 수단적 가치 51
    17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56
    18 행정학의 성립과 발달 57
    19 과학적 관리론 60
    20 인간관계론 61
    21 행태론 62
    22 체제론 & 비교행정론 64
    23 신행정론 65
    24 현상학 68
    25 공공선택이론 69
    26 신제도론 73
    27 신공공관리론 76
    28 거버넌스론 78
    29 신공공서비스론 80
    30 탈신공공관리론 82
    31 행정이론 종합 85

    제2장 I 정책론
    01 정책과학의 특성과 본질 93
    02 정책의 본질과 유형 94
    03 정책의제의 설정 101
    04 정책의제 설정에 관한 이론모형 105
    05 정책네트워크(정책망) 모형 109
    06 정책목표 111
    07 정책분석의 유형 112
    08 체제분석 113
    09 관리과학 116
    10 직관적(판단적) 예측 117
    11 불확실성과 미래예측 119
    12 정책결정의 본질 121
    13 정책결정 이론모형(Ⅰ) : 개인차원의 의사결정모형 122
    14 정책결정 이론모형(Ⅱ) : 집단차원의 의사결정모형 125
    15 정책집행에 관한 연구 130
    16 정책집행이론 132
    17 정책집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138
    18 기획의 발달과 유형 139
    19 정책평가의 유형과 방법 140
    20 정부업무평가 142
    21 정책평가의 요소 : 인과관계·변수 및 타당성 144
    22 정책평가의 방법 : 실험 150
    23 정책변동과 환류 154

    제3장 I 조직론
    01 조직의 유형 159
    02 조직이론의 변천과 유형 164
    03 인간관과 동기이론 166
    04 조직문화 174
    05 의사전달 176
    06 갈등 177
    07 권력 181
    08 리더십 182
    09 조직의 구조변수 188
    10 조직의 원리 193
    11 관료제 195
    12 후기관료제(탈관료제) - 애드호크라시(adhocracy) 198
    13 계선과 막료 & 공식조직·비공식조직 204
    14 위원회(합의제 행정기관) 205
    15 우리나라 정부조직체계 207
    16 책임운영기관 210
    17 공공기관 213
    18 거시조직이론 216
    19 혼돈이론 221
    20 행정PR & 정보공개 222
    21 목표관리(MBO) 224
    22 조직발전(OD) 226
    23 총체적 품질관리(TQM) & 전략적 관리 228
    24 성과지표 232
    25 균형성과관리(BSC) 233

    제4장 I 인사행정론
    01 엽관주의 241
    02 실적주의 242
    03 직업공무원제도 244
    04 대표관료제 246
    05 중앙인사행정기관 248
    06 적극적 인사행정과 인적자원관리 250
    07 경력직과 특수경력직 251
    08 개방형과 폐쇄형 인사 253
    09 계급제 255
    10 직위분류제 256
    11 고위공무원단 제도 260
    12 임용 262
    13 시험 263
    14 교육훈련 265
    15 근무성적평정 267
    16 역량중심의 인사 271
    17 공무원의 보수 274
    18 공무원 연금 277
    19 신분보장 279
    20 공무원단체 - 공무원노조 284
    21 정치적 중립 288
    22 공직윤리 289
    23 공직부패 294

    제5장 I 재무행정론
    01 예산과 재정 301
    02 예산 관련 법률 303
    03 예산의 기능 306
    04 계획과 예산 307
    05 예산의 원칙 308
    06 예산의 분류 311
    07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312
    08 정부기금 315
    09 통합재정 317
    10 조세지출예산 319
    11 남녀평등예산(성인지예산) 321
    12 본예산·수정예산·추경예산 322
    13 준예산·잠정예산·가예산 324
    14 예산의 합리주의와 점증주의 326
    15 품목별 예산(LIBS) 329
    16 성과주의 예산(PBS) 330
    17 계획예산(PPBS) 332
    18 목표관리예산 334
    19 영기준예산(ZBB) 335
    20 자본예산(CBS) 338
    21 신성과주의예산(NPB) 340
    22 예산편성 349
    23 예산심의 351
    24 예산집행 352
    25 결산 및 세계잉여금 359
    26 정부회계 360
    27 예산종합 365

    제6장 I 행정환류론
    01 행정책임 371
    02 행정통제 374
    03 옴부즈만제도 378
    04 행정참여 381
    05 행정개혁의 본질 383
    06 선직국의 행정개혁과 교훈 385
    07 지식정보사회와 행정 386
    08 전자정부 388
    09 지식행정관리 398

    제7장 I 지방자치론
    01 지방자치의 본질과 가치 403
    02 자치권 406
    03 지방자치의 변천과 역사 409
    04 우리나라의 지방자치 411
    05 정부간 관계 416
    06 중앙통제 417
    07 특별지방행정기관(일선기관) 420
    08 정부간 갈등과 분쟁 423
    09 광역행정 425
    10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427
    11 자치단체의 계층구조 429
    12 자치단체의 기관 구성 430
    13 지방자치단체의 기능 배분 435
    14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439
    15 지방재정의 본질과 체계 443
    16 지방재정력의 평가 444
    17 지방세 446
    18 세외수입 449
    19 지방공기업 451
    20 국고보조금 452
    21 지방교부세 454
    22 지방채 456
    22 주민참여 457
    24 주민소송 460
    25 주민투표 461
    26 주민소환 463
    27 주민참여 종합 465

    부록 지방자치법 개정내용 비교정리 471

  • 품목정보
    • 페이지
      476쪽
      판형
      규외 215 X 260 X mm
    • ISBN
      9791192405476